지식정보

🇰🇷 한국, 30년 만에 ‘헤이그 국제입양협약’ 비준!

notes3511 2025. 6. 18. 10:02

아동의 권리를 위한 진짜 변화가 시작된다


📌 “이제는 국가가 책임진다”

2025년 6월 17일, 대한민국은 드디어 ‘헤이그 국제아동입양협약(Hague Convention on Intercountry Adoption)’을 비준했습니다.
이 협약은 아동이 국경을 넘어 입양될 때 인권을 보장하고 투명한 절차를 보장하는 국제 규범인데요,
한국은 1993년 협약이 채택된 이후 무려 30여 년 만에 비준을 완료했습니다.


🤔 왜 이제야 비준했을까?

그동안 한국은 민간 기관 중심의 입양 시스템을 유지하며
국제 기준에 못 미치는 점이 많았다는 지적을 받아왔습니다.

  • 1980년대엔 연간 6,000명이 넘는 아동이 해외로 입양
  • 2024년에는 58명으로 급감했지만,
    ▶ 일부 아동의 정보 조작
    ▶ 고아가 아님에도 ‘고아’로 입양
    ▶ 생모 정보 미기록 등
    심각한 인권 침해 사례가 확인되기도 했습니다.

이제는 국가가 입양의 전 과정을 직접 감독하고 투명하게 운영하는 체계로 전환되며,
국제 사회의 신뢰를 회복하고, 아동의 권익을 보호하게 되는 것이죠.


📋 헤이그 협약, 정확히 어떤 내용일까?

이 협약은 단순히 “입양을 허락한다”는 수준이 아닙니다.
다음과 같은 내용을 핵심으로 담고 있어요.

1. 아동의 최선의 이익 우선

아동이 가장 안전하고 안정적인 환경에서 성장할 수 있도록 판단 기준을 세웁니다.

2. 원가정 보호가 최우선

입양은 마지막 수단!
우선은 친가정에서 보호할 수 있는지 확인한 후,
→ 국내 입양,
→ 그 이후에야 해외 입양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.

3. 국가가 주도하는 시스템

이제는 보건복지부가 중심이 되어
입양 절차, 양부모 적격 심사, 해외 기관 협의까지 모든 것을 통제하게 됩니다.


📅 언제부터 시행될까?

  • 비준일: 2025년 6월 17일
  • 발효일: 2025년 10월 1일

협약은 비준 3개월 후부터 자동으로 효력이 발생해,
올해 가을부터는 국제 기준에 맞는 입양제도가 본격적으로 작동하게 됩니다.


🔍 어떤 변화가 생길까?

✅ 아동권리 보호 강화

모든 입양 과정이 공식적으로 기록되고, 양부모 자격도 엄격히 심사됩니다.

✅ 국제 신뢰 회복

협약을 체결한 국가들 간에 입양 절차를 상호 인정하게 되며,
한국은 더 이상 ‘입양 인권 후진국’이라는 오명을 벗게 됩니다.

✅ 입양인의 권리 보장

입양된 아동은 성장 후 자신의 뿌리를 찾을 수 있도록
정부가 입양기록을 전산화하고 추적 시스템을 운영합니다.


⚠ 남은 과제는?

아직 해결되지 않은 이슈도 많습니다.

  • 과거 입양인의 인권 침해에 대한 정부 공식 사과와 보상
  • 입양기록의 신뢰성 확보와 디지털화 작업
  • 법 시행을 위한 세부 시행령 및 행정체계 정비

이제 막 첫 발을 뗀 만큼, 제도 정착을 위해선 지속적인 관심과 감시가 필요합니다.


✨ 마무리하며

이번 협약 비준은 단순한 제도 개선이 아닙니다.
과거를 반성하고, 앞으로 더 나은 입양 문화를 만들어가기 위한 약속이자 출발점입니다.

한국이 아이들에게 “국가는 당신을 보호하고 있다”는 메시지를 보내는
역사적인 순간임에 틀림없습니다.

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