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식정보

비트코인 롱, 숏 청산가 계산 방법 및 퍼센트

notes3511 2025. 4. 8. 19:44

비트코인 롱, 숏 청산가 계산 방법 및 퍼센트

비트코인 선물 거래에서 롱(Long) 또는 숏(Short) 포지션을 잡을 때 가장 중요한 개념 중 하나가 청산가입니다. 청산가는 투자자가 손실을 감당할 수 없을 때 거래소가 강제로 포지션을 정리하는 가격입니다. 이 글에서는 청산가를 정확히 계산하는 방법과 청산까지 필요한 퍼센트(가격 변동 폭)까지 세부적으로 설명하겠습니다.

 

1. 기본 개념 이해

  • 롱 포지션: 가격 상승에 베팅. 싸게 사서 비싸게 파는 전략.
  • 숏 포지션: 가격 하락에 베팅. 비싸게 팔고 싸게 사들이는 전략.
  • 청산가: 시장 가격이 특정 수준에 도달하면 강제 종료되는 가격.
  • 레버리지: 자기 자본의 몇 배까지 포지션을 잡는지 나타내는 비율.

레버리지가 높을수록 수익률은 커지지만, 청산가가 진입가에 가까워져 청산 위험도 급격히 증가합니다.

 

2. 청산가 기본 계산 공식

거래소에 따라 세부사항이 다를 수 있으나, 일반적인 청산가 계산은 다음과 같습니다.

 

 

3. 예시로 살펴보기

롱 포지션 예시


 

4. 청산까지 퍼센트 계산 방법

청산가를 알았으면, 진입가격 대비 청산까지 몇 퍼센트 가격이 움직이면 청산되는지도 계산할 수 있습니다.

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.

 

 

정리: 레버리지가 10배일 때는 약 10% 정도 가격이 반대로 움직이면 청산이 발생합니다. 레버리지가 20배라면 5%, 5배라면 20%의 가격 변동 폭이 청산에 해당합니다.


 

5. 청산가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

  1. 레버리지 크기
    레버리지가 높을수록 청산가는 진입가에 가깝습니다.
  2. 증거금 추가 여부
    포지션에 추가 증거금을 투입하면 청산가를 원래 가격 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습니다.
  3. 펀딩비(Funding Fee)
    선물 시장은 8시간마다 펀딩비를 주고받습니다. 펀딩비로 인한 손실이 쌓이면 청산가도 점점 가까워집니다.
  4. 거래소 수수료 및 스프레드
    일부 거래소는 수수료 및 스프레드로 인해 청산가를 미세 조정할 수 있습니다.
  5. 포지션 크기
    포지션이 크면 유지 증거금 비율도 올라가서 청산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.

 

6. 청산 리스크 줄이는 방법

  • 레버리지 낮추기: 3~5배 레버리지 정도로 보수적으로 거래하는 것이 안정적입니다.
  • 부분 손절 설정: 가격이 청산가 근처까지 오기 전에 일정 손실을 감수하고 미리 손절하는 전략을 세워야 합니다.
  • 추가 증거금 준비: 예상치 못한 급등락 시 추가 증거금을 빠르게 투입해 포지션을 방어할 수 있어야 합니다.
  • 시장 상황 체크: 변동성이 크거나 경제 이벤트(예: FOMC 발표)가 있을 때는 포지션을 줄이거나 청산가를 멀리 설정해야 합니다.

 

마무리

비트코인 선물 거래는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지만, 그만큼 리스크도 큽니다. 특히 청산가와 퍼센트 계산을 정확히 이해하지 못하면 작은 가격 변동에도 큰 손실을 볼 수 있습니다. 항상 청산가를 사전에 계산하고, 손익 관리 계획을 세워 안전한 거래를 하시기 바랍니다.